- 전공소개
문헌정보교육전공 (The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)
- 1. 교육목적 오늘날 학교교육은 전통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정보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교수 학습시대로 변화하고 있다. 이에 교육정책에 있어서 교육과정을 새로운 환경에 맞게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교육지원체제를 크게 강화함으로써 각급 학교의 도서관 및 사서 교사의 위상이 더욱 확고해졌다. 그리하여 우리 문헌정보교육 전공에서는 학교 및 공공도서관의 운영과 관련된 제반 전문과정을 심화 학습함으로써 새로운 교육현장에 적합한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현장에 배출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. 2. 교과목개요 1) 교과내용학
· 분류학 : Theory of Classification
지식분류의 의의, 역대 동서양의 주요 문헌분류법의 발전과정, 현재의 주요 문헌분류법 및 그 이론을 체계적으로 해설한다. · 도서관전산화 : Library Automation
경영학, 행정학, 관리학 분야에서 개발된 경영이론에 근거한 도서관경영에의 도입과 그 사례들을 조사 연구한다. 정보센터의 경영기법 중 선별된 주제에 대하여 그 이론을 문헌에서 조사하고 실제 응용에 대한 사례를 연구한다. · 독서지도론 : Theory of Reading Guidance
독서의 종합적 의의를 살펴 독서개념의 새로운 이해를 구축하고 독서지도의 원리, 계획, 실체를 강의한다. · 정보봉사론 : Information Service
각종 도서관 및 특수 분야에서 정보서비스 업무 및 참고문헌 평가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. · 목록학 : Theory of Cataloging
목록의 이론 및 각종 편목법을 연구한다. · 정보검색 : Information Retrieval
지능형 정보검색이론과 실제, 특히 전문가 시스템, 하이퍼텍스트, 이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연구한다. · 학교도서관운영 /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Media Centers
학교도서관 경영 중 특수주제를 선별하여 그 이론과 실제에 대해 조사, 발표, 연구한다. · 정보매체론: Theory on New Media
이 과정은 교육자 및 정보센터 관리자로써 학교도서관 미디어 전문가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. 특히 교육 커뮤니티에서 관리자, 장서 및 교과과정 개발자, 정보센터 시설 설계자로서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는 교육자인 사서의 역할에 초점을 둔다. 또한 도서관의 전통적인 분야에서의 전문적 지식 및 기술을 개발함과 더불어 변화하는 교육환경에서 미디어 전문가로써 책임 및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. · 장서관리론 : Collection Development
도서관자료구성의 이론과 장서구성상의 제반 문제점을 분석 평가한다. · 정보문해 : Information Literacy
이 과정은 교육 지도자 및 센터 행정관으로 학교 도서관 매체 전문가의 역할에 대해 다룬다. 교육 분야에서 사서 교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, 덧붙여 전통적인 영역의 지식과 기술 그리고 미디어 전문가로서의 여러 측면들에서 사서의 역할에 대해 교수한다. · 문헌분류사 연구 :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History
동서양 문헌분류법의 원칙 및 역사발전과정을 연구한다. · 메타데이터연구 : Studies on the metadata
메타데이터 데이터요소 기술방법, 메타데이터 도구 개발, 메타데이터간의 상호 운영성 등에 대해 연구한다. · 고서정리법 : Organization of Old Korean Books
고서의 분류 및 편목법을 연구한다. · 독서교육론 :Theory of Reading Education
독서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, 독서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독서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. · 연구방법론 : Teaching Metho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
문헌정보학의 과학적인 연구를 위해 필요한 제반 연구방법론을 연구한다. · 도서관경영 : Library Management
도서관 경영 중 특수주제를 선별하여 그 이론과 실제에 대해 조사, 발표, 연구한다. · 교과교육론 : Teaching Methodology
이 과목은 사서 교사 측면에서 필요한 다양한 교수방법의 이론 및 실제에 대해 탐구한다. · 교과 논리 및 논술 : Writing Essays on Education
문헌정보 교육 이론 및 교수법에 대한 토픽들을 가지고 정해진 시간 내에 논술하는 훈련을 통하여 문헌정보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. · 문헌정보학 교과교육과정 : Studies of LIS Curriculum
문헌정보교육과정에 관한 관련 이론들을 심층적으로 학습하고 현행 우리나라 문헌정보교육과정의 체재와 특성을 논의한다. · 전공심화연구: Studies in Major Field

Tel. 02-820-5082 / 5083
Fax. 02-815-4467
